긴급재난지원금 홈플러스, 쿠팡에서는 사용 가능하지만 이마트, 롯데마트에선 사용 불가. 형평성 어긋
코로나 19 바이러스로 인한 재난 사태에 대해서 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는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는데 정확하지 않은 사용처 기준 때문에 소비자들은 혼란을 겪고 있습니다.
원래라면 서울시에서 지급된 긴급재난지원금은 소상공인을 살리자는 의도로 대형마트나 백화점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유흥업소를 포함한 일부 업종에서도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그런데 서울시가 말한 것과는 달리 대형 마트인 홈플러스와 대형 소셜커머스 업체들에서는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형평성 논란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논란이 거세지자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이마트나 롯데마트와 같이 신세계 상품권, 롯데상품권과 같은 자체 상품권을 가지고 있는 대형 마트에서는 정부에서 지급한 선불카드를 다른 업체의 선불카드로 인식하는데, 이와 다르게 자체 상품권이 없는 홈플러스의 경우 결제가 된다"라고 답하였습니다.
또한, 대형 e커머스 업체들에서도 긴급재난지원금이 사용 가능한 것에 대해서는 "쿠팡, G마켓, 11번가, 티몬 등에서는 결국 입점 업체들이 개인사업자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소상공인으로 볼 수 있다"라고 답하였습니다. 하지만 일부 네티즌들은 코로나 19 바이러스 사태로 인해 가장 큰 수혜를 본 것이 온라인 쇼핑 업체들인데, 원래 긴급재난지원금의 취지와 맞지 않는다며 불만을 표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오프라인과 온라인에 대한 차별 또한 논란이다. "사실상 코로나 19 바이러스 사태의 가장 큰 수혜 업종은 온라인 업체들인데, 오프라인 매장의 대형마트인 롯데마트, 이마트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데 온라인에서 사용하는 것이 말이 되느냐", "반대로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하게 해줘야 하는 것 아니냐" 라며 지적하고 있습니다.
한편 일부 소지자들은 오히려 소상공인들은 선불카드를 거부하면서 현금 결제를 유도한다며 불평하는 사례도 있습니다. 일부 네티즌은 "재래시장에 방문하여 사용하려 했는데 IC 카드 결제는 안된다며 거절당했다." "누굴 위한 재난지원금인지를 모르겠다."라며 불평을 표하기도 했습니다.